1. 네이버, 2분기 매출 2조 원 돌파
네이버가 올해 2분기 매출 2조 458억 원, 영업이익 3,362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3.0%, 0.2% 증가한 수치다. 서치플랫폼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3% 성장했고, 커머스 매출은 19.7% 증가했다. 2분기 네이버쇼핑 거래액은 103조 3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했다.
2. 카톡, 페이스북·인스타처럼 바꾼다
카카오톡이 확 바뀐다. 자신을 알릴 수 있는 프로필 페이지를 강화해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같은 SNS로 발전시키고, 모르는 사람들끼리 관심사를 중심으로 모인 오픈채팅은 별도 앱으로 분리한다. 최근 경기 침체로 카카오의 성장성에 대한 시장의 의문이 커지자 핵심 사업인 카카오톡 개편을 들고 나온 것이다.
3. 고물가에 알뜰 소비 경향 커졌다…온라인 쇼핑 늘고 리퍼 찾아
고물가 시대 알뜰 소비 경향이 커지면서 온라인 쇼핑 이용 빈도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94%는 일상생활에서 식·생활용품을 구매할 때 물가 상승이 느껴진다고 응답했고, 작년 대비 물가 변화가 크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식비를 가장 많이 꼽았다. 알뜰 소비 경향이 커지면서 쇼핑할 때 가격을 중점적으로 고려한다는 사람이 많았고, 2명 중 1명은 온라인 쇼핑 빈도가 늘었다고 답했다.
4. 편의점 콘텐츠가 1억 뷰
편의점 CU는 숏폼 드라마 ‘편의점 고인물’이 39일 만에 조회 수 1억 회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편의점 고인물은 씨유가 플레이리스트와 협업해 만든 20부작 드라마다. 편의점 업계가 '재미'에 기반한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연스레 브랜드와 상품에 스며들게 하는 마케팅에 앞다퉈 나서고 있는 것이다.
5. "우리도 할 수 있어"…이커머스 편의점도 근거리 배달 주력
음식 배달 애플리케이션 수수료를 둘러싸고 논란이 지속하고 있음에도 소비자들의 일상 속 배달 수요는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비용 부담 없이 편의점 배달서비스를 이용하게끔 하자는 취지다. 이마트24가 이 같은 지원책을 시행 중인 데는 소비자들의 배달 주문 수요가 꾸준히 상승 중인 배경이 있다.
6. 새벽배송 철회 속 네이버는 전진
네이버가 당일·새벽배송 서비스 준비를 본격화한다. 일부 이커머스 기업들이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새벽배송 서비스를 중단하는 흐름과 달리 배송 경쟁력 강화를 위해 TF팀을 만들었다. 대규모 물류 투자나 마케팅 비용을 크게 지출하는 경쟁사와 달리 다양한 파트너십 모델로 사업 효율화를 이룬다는 목표다.
7. 축산·낙농가, 정책 비판 대규모 투쟁 예고… 유통업계 ‘긴장’
소고기, 돼지고기 등 육류를 생산하는 축산농가들이 정부의 수입 축산물 무관세 정책을 비판하며 대규모 투쟁을 예고하면서 유통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지난달 20일부터 시행 중인 수입 축산물 할당 관세 0% 적용 조치로 한우 등 국내산 축산물 가격이 내려가고 있다고 주장하며 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김삼주 전국한우협회장은 "정부의 수입 축산물 무관세 정책이 국내산 축산물 위축과 가격 하락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축산가를 위한 사료 값 안정 대책부터 조속히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8. MZ세대 취향 저격 '댄스 마케팅' 인기
지난해부터 이어진 댄스 경연 프로그램들의 인기에 힘입어 댄스 마케팅이 인기다. 특히 MZ세대 사이에서 틱톡, 릴스 등에 인기 댄스를 따라 하는 트렌드가 확산된 것도 한몫하고 있다. 유통업계에서는 따라 하기 쉬운 춤으로 소비자 동참을 유도하거나 강렬한 인상의 댄스를 광고 등에 삽입하며 인기 몰이 중이다.
9. 중국, 지난해 광고 산업 매출 첫 1조 위안 돌파
지난해 중국 광고 산업이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지난해 광고 산업의 주요 기업과 공공기관의 매출이 약 1조 1,800억 위안(약 228조 3,3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 급증해 처음으로 1조 위안을 돌파했다. 온라인 광고 매출은 매년 증가세를 보이면서 중국 광고 시장에서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0. 신한카드, 라이브 커머스 플랫폼 '라방 플러스' 론칭
신한카드는 다양한 라이브 커머스 방송 정보와 혜택을 알려주는 플랫폼인 '라방 플러스'를 신한pLay 앱 내에 론칭했다고 밝혔다.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진행하는 광고주는 신한플레이 회원들을 대상으로 방송을 홍보할 수 있기 때문에 잠재 고객을 늘리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마케팅뉴스] 2022.08.11 목요일 (0) | 2022.08.11 |
---|---|
[마케팅뉴스] 2022.08.09 화요일 (0) | 2022.08.09 |
[마케팅뉴스] 2022.08.03 수요일 (0) | 2022.08.03 |
[마케팅뉴스] 2022.08.02 화요일 (0) | 2022.08.02 |
[마케팅뉴스] 2022.07.28 목요일 (0) | 2022.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