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케팅뉴스] 2022.06.17 금요일

마케팅NEWS

by Honey_Tips 2022. 6. 17. 15:04

본문

728x90

1. 대체단백질은 기존 식품과 다른 기준으로…'푸드테크' 규제 푼다

앞으로 인공적으로 단백질을 만들어 동물성 단백질의 맛과 식감을 구현한 '대체단백질식품'이나 첨단기술로 개발된 식품첨가물의 기준이 새롭게 만들어질 예정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신기술이 적용된 식품에 대한 안전기준을 마련해 국민을 보호하고 첨단기술을 접목한 식품산업의 발전도 돕겠다는 방침이다.

 

2. 유튜브 쇼츠, 월간 이용자 15억 명 돌파

유튜브 숏폼 콘텐츠 기능 쇼츠(Shorts)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가 15억 명을 돌파했다. 틱톡은 5년 만에 MAU 10억을 확보한 것을 감안하면, 2020년 인도 베타 서비스로 시작, 지난해부터 글로벌 서비스를 선보인 쇼츠가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3. 물류 이어 택배 대란 오나…우체국 택배노조 파업 ‘초읽기’

부산지역 우체국 택배노동조합이 우정사업본부를 비판하며 파업을 예고했다. 16일 오후 2시 연제구 부산지방우정청 앞에서 전국택배노조 우체국본부 부산지부가 기자회견을 열고 우정사업본부를 비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정봉헌 우체국택배노조 부산투쟁본부장, 권용성 전국택배노조 부산지부장을 비롯한 노조원 10여 명이 참석했다.

 

 

4. 카카오 '지그재그', 해외 역직구 본격 진출...美·日부터 공략

카카오스타일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가 해외 역직구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카카오스타일 관계자는 16일 "다음 달부터 지그재그 글로벌 버전을 시범 운영할 것"이라며 "글로벌 공략을 위해 신규 인력을 영입하는 등 조직을 보강해왔다. 현재 해외 판매를 위한 입점 신청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카카오스타일은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 문화가 확대되고 해외 소비자들이 한국 판매자의 상품을 구매하는 역직구 시장이 고속 성장하는 상황을 고려해 지그재그 글로벌 버전을 본격 준비했다.

 

 

5. 급상승한 외식물가에 ‘레스토랑 간편식’ 인기

최근 급상승한 외식물가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면서 전문점의 메뉴를 집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레스토랑 간편식(RMR)이 인기를 끌고 있다. 16일 신세계푸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RMR 10여종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21%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양식 맛집 ‘구슬함박’과 협업을 통해 선보인 ‘올반 구슬함박 스테이크’ 오리지널과 옐로우 치즈 등 2종의 판매량은 각각 32%, 28%씩 늘어났다.

 


6. 사용자 습관 바꾸지 못해 '발견'하지 못한 카카오뷰

카카오가 지난 1월 포털 다음 첫 화면에서 '뉴스'를 빼고 다양한 창작자들의 콘텐츠를 큐레이팅 하는 '뷰' 서비스를 야심 차게 론칭했지만 이용자도 창작자도 만족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카카오는 계획과 달리 전면 개편을 미루고 뷰 서비스 노출 비중을 줄이며 복잡한 심경을 드러내고 있다.

 


7. CJ ENM, 가구별 '타깃 광고'로 수익 높인다

CJ ENM은 7·8월 두 달간 '어드레서블 TV 광고' 상품을 판매한다. 어드레서블 TV 광고는 특정 시청자의 관심사에 맞는 광고 송출이 가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번 시범 운영은 CJ ENM의 15개 채널 중 영화 채널군인 OCN·OCN 무비스·OCN 스릴스를 통해 진행된다.'

 


8. '100억 적자' 따릉이, 요금 안 올리고 광고판 붙인다

서울시가 이르면 다음 달부터 공공자전거 따릉이에 버스와 택시와 같은 광고판을 도입해 운영한다. 적자가 늘고 있는 따릉이의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따릉이 광고판엔 공공가치를 훼손시키지 않기 위해 ESG 등 공익적 가치를 우선하고 있는 기업들 이름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9. 트위치, 상위 스트리머가 광고수익 쓸어가는 방식 바꾼다

통상 스트리밍 플랫폼들의 광고 수익 배분은 'CPM' 방식이다. 상위 스트리머에 수익이 더 많이 배분된다. 트위치는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을 유치하기 위해 8월부터 3분짜리 광고를 실행할 경우 55%를 정률적으로 배분한다. 스트리머에게 광고 수익의 인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트위치는 기대했다.

 

 

10. MZ세대 잡아라…NFT 뛰어드는 패션·유통업계

패션·유통업계가 NFT를 미래먹거리로 낙점하고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이 전개하는 아웃도어 브랜드 '코오롱스포츠'는 NFT 브랜드 '샤이고스트스쿼드'와 함께 성수동 커먼그라운드에 팝업 스토어를 오픈했다. 샤이고스트스쿼드는 인플루언서 기반의 NFT 브랜드로 유령 캐릭터 NFT를 소유한 이용자들이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