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케팅뉴스] 2022.05.26 목요일

마케팅NEWS

by Honey_Tips 2022. 5. 26. 15:03

본문

728x90

1. 카카오도 배달대행 뛰어든다... '도보 배송' 틈새시장 통할까

카카오모빌리티가 다음 달부터 본격적으로 배달대행 시장에 뛰어들기로 했다. 당분간은 도보 배송 중심에 프랜차이즈만 대상이지만, 하반기부터 일반 음식점까지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대기업 카카오가 배달대행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국내 배달 업계도 긴장하는 모양새다.

 

 

2. 지난달 가장 많이 쓴 OTT는 '넷플릭스'

지난 4월 한 달 동안 가장 많이 사용한 OTT는 1055만 명의 넷플릭스였다. 다만 연초와 비교하면 OTT 가입자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쿠팡플레이 321만 명, 웨이브 307만 명, U+모바일tv 156만 명, 디즈니플러스 146만 명, 왓챠 123만 명, 시즌 116만 명 등이 뒤를 이었다.



3. 예견됐던 SNS 침체기 왔다

동영상 기반 SNS 스냅챗을 운영하는 스냅이 거시경제 악화로 실적이 둔화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으면서 주가가 40% 이상 하락했다. 기업들이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온라인 광고를 줄일 수도 있다는 전망에 메타(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등 다른 플랫폼 기업들의 주가도 줄줄이 하락했다.

 

 

4. '감성 마케팅' 풍덩 MZ세대…제품부각 NO, 소통·경험 OK

유통업계가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이색 마케팅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개성 강한 MZ세대의 소비 트렌드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핵심 소비층으로 떠오른 MZ세대는 새로움에 거부감이 없고 색다른 즐거움을 추구한다. 또 상품 구매 과정에서는 상품 자체보다 경험과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5. 네이버, '여행 가능한 해외 국가' 통합 검색 제공

네이버는 해외여행과 관련해 별도의 맞춤형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로 했다. 해외여행 가능 국가를 검색하면 입국 시 격리 없이 여행 가능한 지역과 백신 필수 여부, 여행 상품까지 포함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맛집 후기에 이어 국내외 여행으로 스마트블록 검색 환경을 확대 적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6. 너도나도 ‘탈TV’ 외치지만…홈쇼핑, TV의존도 여전

한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고 불리던 홈쇼핑 업계가 송출수수료 등으로 수익성이 흔들리고 있다. TV 밖에서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먼저는 법인명·채널명에서 ‘TV’ 혹은 ‘홈쇼핑’이라는 단어를 없애는 추세다. 다만 여전히 TV 의존도가 높아 완벽한 체질개선을 이루기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7. "생생한 후기가 지름신 부른다" 이커머스 '동영상 리뷰' 확대

구매 경험을 나누는 생생한 리뷰가 유통가의 핵심 마케팅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구매자들의 리뷰가 구매를 망설이는 고객들의 결정을 돕는 요소가 되면서 업계는 고객의 리뷰를 활성화하고, 이를 확대하는데 집중하고 있다.24일 이커머스 업계에 따르면 11번가는 2019년 업계 최초로 동영상 리뷰를 모아 볼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올해(1~4월) 업로드된 동영상 리뷰는 190만건으로, 하루 1만6000건이 올라온다.

 

8. 명품 브랜드가 F&B 마케팅에 진심인 이유

최근 자사 브랜드를 활용해 F&B 마케팅을 하는 곳이 늘었다. 식품기업 외에도 명품 브랜드까지 이런 흐름에 올라탔다. 루이비통은 팝업 레스토랑을 운영하고 디올도 '카페 디올'을 선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체험을 원하는 소비자의 마음을 잡고 싶다면 F&B 마케팅이 제격이라고 전했다.

 


9. 성장곡선 그린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지각변동 예고

네이버 웨일이 PC와 모바일 경계를 넘나들며 꾸준히 입지를 다지고 있다. 네이버는 웨일 스페이스, 그린드랍 등 웹 기술 기반의 차별화 전략을 내세워, 브라우저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나가겠단 전략이다.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이달 웨일의 점유율은 9.2%다.

 


10. 엔데믹’ 분위기에… 여심 잡는 패션 트렌드 ‘C.A.T’

최근 6개월간 여성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더믹 분위기 속에서 ‘편안하게(Cozy) 운동과 레저를 함께 즐길 수 있는(Athleisure) 기능성(Technical) 패션’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업계 1위 이커머스 전문 데이터 분석 플랫폼 아이템스카우트는 네이버 쇼핑 내 ‘여성 패션’ 카테고리 상위 80개 상품의 최근 6개월간(2021년 11월~2022년 4월) 매출 데이터를 분석해 공개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