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케팅뉴스] 2022.05.10 화요일

마케팅NEWS

by Honey_Tips 2022. 5. 11. 16:38

본문

728x90

1. 2030 골프 인구 늘더니…이젠 '공'도 없어서 못산다

골프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골프채에 이어 골프공마저 ‘없어서 못사는’ 품귀 현상이 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다. 가뜩이나 주요 원자재인 폴리우레탄 가격이 급등하며 골프공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골프공을 사려는 이들이 늘면서 전형적인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 가는 분위기다.

 

 

2. "30대만 잡는다"…특정 연령대 공략 패션 플랫폼 속속 등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비대면 쇼핑이 일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패션 플랫폼도 연령대별로 세분화되고 있다.과거 패션 애플리케이션이 주로 온라인 쇼핑의 주력 소비층인 1020 세대를 겨냥한 것이었다면 이제는 3040 세대를 넘어 4050 세대를 겨냥한 별도의 앱도 속속 출시되고 있다.

 

 

3. 코리아는 ‘한정판’ 열풍 중… NFT·리셀테크도 같이 뜬다

희소성 있는 한정판 제품을 구매해 개인의 심리적 만족감을 충족하면서, 향후 제품의 가치가 높아지면 재판매해 시세차익을 노리는 ‘리셀테크(재판매를 의미하는 Resell과 재테크의 합성어)’까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패션, 식품 등의 유통업계뿐만 아니라 전자, 자동차, 금융 그리고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NFT(대체불가토큰) 시장까지 급속도로 확장하고 있다.


4. 판 커지는 패션 이커머스... 브랜디·에이블리도 유니콘 예고

무신사, 지그재그에 이어 브랜디, 에이블리로 대표되는 4대 온라인 패션 플랫폼들이 모두 유니콘 반열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브랜디는 최근 투자를 받으면서 1조 원에 조금 못 미치는 기업가치를 평가받았다. 무신사는 이미 2조 원의 기업 평가를 받았고 에이블리는 9천억 원대를 인정받았다.

 

 

5. 못난이 식품도 버릴 순 없다…'리퍼브매장'·'소비기한 표시제'가 뜬다

생산, 가공, 유통 등의 과정에서 버려지지만 섭취가 가능한 식품, 이른바 '식품 손실(Food loss)'을 막기 위한 시도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최근에는 외관상 문제가 있더라도 맛과 품질에는 차이가 없는 이른바 ‘못난이 농산물’을 판매를 비롯해 유통기한이 임박한 상품들을 판매하는 리퍼브(Refurb) 업체들이 등장해 식품 폐기를 줄이는 데 힘을 보태고 있다. 내년 1월부터는 현행 유통기한 대신 실제 섭취가능한 기간을 표시하는 ‘소비기한 표시제’가 시행되면서 식품 리퍼브 시장은 더욱 덩치를 불릴 것으로 전망된다.

 

 

6. 틱톡 광고 매출 훨훨... 메타는 7분의 1 토막

메타, 유튜브, 트위터 등 SNS 업체들이 흔들리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틱톡이라는 강력한 경쟁 업체가 등장하며 광고 매출 감소세가 본격화됐기 때문이다. 페이스북의 올 1분기 광고 매출 성장률은 6.1%에 그쳤다. 유튜브도 올 1분기 광고 매출 성장률이 14.4%로, 1년 전의 3분의1 수준에 그쳤다.

 

 

7. TV 끄고 모바일 속으로... '라방'이 대안?

홈쇼핑 업계가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치고 있다. TV홈쇼핑 시청률은 떨어지는데 송출수수료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활로를 열기 위해 디지털 전환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쇼핑 트렌드를 따라잡는 차원에서 라이브커머스로 외연을 확장하는 움직임도 있다.

 


8. 국내 숙박업, 보복 여행 수요에 1분기 '활짝'

1분기 국내 숙박업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87%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단계적으로 완화됨에 따라 오랫동안 억제돼 있던 여행 수요가 증가해 매출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제주도는 전년 대비 177% 성장률을 기록하며 해외여행 대체 여행지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다졌다.

 


9.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매출 年 69조

네이버와 카카오 등 이른바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플랫폼 서비스 수수료로 국내에서 올리는 매출이 연간 약 70조 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내에서 통신망을 활용해 사업을 벌이고 있는 부가통신 사업자들이 부가통신 서비스를 통해 올리는 전체 매출은 200조 원가량으로 추산됐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