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코로나19 장기화로 침구류 관심 상승…호텔서 쓰는 이불 인기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집 꾸미기 열풍이 이어진 영향과 숙면에 대한 니즈 상승으로 이불 및 침구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14일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지난해 침구류 매출은 전년 대비 24% 신장한 데 이어 올해(1월1일~2월10일) 매출도 전년 동기대비 10%대의 신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고급 호텔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던 거위털(구스) 침구 브랜드를 찾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막상막하'된 네이버 vs 카카오...커머스·콘텐츠에서 승부 갈린다
카카오는 선물하기·톡스토어·메이커스·지그재그 등을 모두 더해 거래액 10조원을 내다본다. 그러나 업계에서 추정하는 네이버쇼핑 거래액은 27조원으로 차이가 현격하다. 이에 카카오는 지난해 2만여명의 중소상공인이 입점한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그립'을 인수하며 네이버식 성장전략을 편다. 네이버 역시 신세계그룹과 손잡고 명품 카테고리를 강화하고, 선물하기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1위 수성에 나섰다.
3. 티몬, 큐레이션 더한 쇼핑 매거진 '테딧' 공개
티몬이 온라인 콘텐츠 강화에 나서며 '콘텐츠 커머스' 기업으로 도약한다. 티몬은 라이프스타일 온라인 매거진 '테딧'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테딧은 시즌별 쇼핑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잡지 형식 온라인 콘텐츠다. 패션·식품·리빙·여행 등 다양한 화제 상품을 큐레이션 해 추천한다.
4. “언박싱 영상부터 커뮤니티까지”…‘별점 평가’ 수준 높이는 e커머스
e커머스 업계 관계자가 전한 말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리뷰 시스템 개발에 주력한 e커머스 업계가 최근에는 신뢰도 높은 양질의 고객 리뷰를 확보하기 위한 ‘리뷰 전쟁’을 벌이고 있다. 단순히 상품을 구매할 때 참고하는 정보 중 하나로 취급됐던 리뷰는 이제 소비자들을 자사 플랫폼에 록인(lock-in)하는 새로운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잘 쓰여진 리뷰가 곧 ‘무기’가 된 것이다.
5. 돈벌이된다던 자동차 옥외광고... 잠잠한 이유는
정부가 광고 규제를 일시적으로 완화해 ‘자기 소유 자동차 활용 옥외광고 중개 플랫폼’ 사업을 허가해주었으나 1년이 지나도 플랫폼들은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옥외광고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도 기존에 자리 잡은 불법 광고와 단속 공백 등이 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6. 식음료업계, 마케팅 트렌드로 비주얼·개인화·가치소비 부상
최근 식음료업계가 개개인으로 세분화 되는 소비자들의 취향을 사로잡기 위한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특히 주요 소비트렌드인 비주얼(Visual)과 개인화(Individual), 목적(Purpose)의 영문 앞글자를 따 만든 신조어 V.I.P 마케팅까지 나오면서 더욱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14일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매력적인 비주얼을 갖춘 음료를 선보이거나 맞춤형 구독서비스 출시 그리고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미닝아웃 소비(가치소비)’를 위한 제품 개발 등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7. 가입 쉬운데, 해지는 어렵게… 넷플릭스 등 OTT에 과태료
넷플릭스, 유튜브 등 OTT 사업자 5곳이 가입자들의 서비스 해지를 방해한 혐의로 과태료 1,950만 원을 부과받았다. 일부 업체는 가입자들이 별도 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해지할 수 있는데도 ‘해지가 불가능하다’고 안내했다. 앞으로는 OTT 가입자들이 서비스를 쉽게 해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8. 당근마켓, 당근페이로 생태계와 수익성 모두 잡을까
당근마켓이 지난해 11월 제주 지역에서 처음 ‘당근페이’를 선보인 이후 3개월 만에 서비스 전국화를 발표했다. 이웃 간 거래 시 송금 기능과 동네 장보기 결제 기능을 동시에 지원한다. 이를 통해 당근마켓 내 생태계 확장과 수익성 모두를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9. “패션 큰손 ‘영포티’ 더 모셔오자” 쇼핑앱-홈쇼핑 화려한 경쟁
4050세대 중장년 ‘패피(패션피플)’들을 잡기 위한 온라인 쇼핑 각축전이 불붙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백화점 여성복 시장은 위축된 반면 20대부터 온라인 쇼핑을 경험한 ‘영포티(젊은 40대)’, 비대면 소비에 눈을 뜬 ‘영피프티(젊은 50대)’가 온라인 패션몰로 유입되며 판을 키웠기 때문이다.백화점들은 최근 보복소비 경향에 따라 해외 럭셔리 상품과 젊은 고객 유입에 도움이 되는 스트리트 브랜드 입점을 늘려왔다.
10. 메타, 슈퍼볼서 메타버스 광고한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운영사 메타가 NFL 결승전 ‘슈퍼볼’에서 메타버스 광고를 게재하기로 했다고 여러 외신이 보도했다. 메타는 가상현실 헤드셋 오큘러스 퀘스트 판매 장려와 회사 메타버스 사업 홍보 등을 이유로, 슈퍼볼 광고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알려졌다.
[마케팅뉴스] 2022.02.17 목요일 (0) | 2022.02.17 |
---|---|
[마케팅뉴스] 2022.02.16 수요일 (0) | 2022.02.16 |
[마케팅뉴스] 2022.02.14 월요일 (0) | 2022.02.14 |
[마케팅뉴스] 2022.02.11 금요일 (0) | 2022.02.11 |
[마케팅뉴스] 2022.02.10 목요일 (0) | 2022.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