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늘부터 요소수 '온라인 판매'…계정당 하루 20리터 가능
지난달부터 거점 주유소에서만 구할 수 있었던 요소수가 8일부터 온라인에서도 판매 가능해졌다. 기획재정부는 전날인 7일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제27차 요소수 수급 관련 범부처 합동 대응 회의를 열고 요소수 완제품 수입 물량의 온라인 판매를 허용하기로 했다.
2. '베타' 뗀 네이버쇼핑, 이커머스 1위 굳히기
스마트스토어를 기반으로 이커머스 시장 1위에 오른 네이버의 신규 서비스들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장보기, 럭셔리, 남성 패션 등 버티컬에 특화된 서비스에 대한 베타 테스트를 종료하고 정식 서비스로 전환했다. 1년여간의 실험 끝에 각 서비스가 안정적인 운영 상황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3. 싸이월드 “네이버·카카오 잇는 3대 K-플랫폼” 출사표
싸이월드제트는 오는 17일 출시할 SNS '싸이월드'와 메타버스 '싸이월드 한컴타운'의 통합 앱을 구글과 애플에 등록 신청했다고 8일 밝혔다. 싸이월드제트 측은 "새롭게 시작하는 싸이월드는 2040의 감성을 담은 국내 유일의 메타버스가 될 것"이라며 "국내 최초의 생활형 메타버스로서 카카오, 네이버에 이은 국내 3위의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4. 히트상품 '갈변샴푸' 광고금지
갈변샴푸로 유명한 모다모다가 최근 식약처와 갈등을 겪고 있다. 회사를 방문 단속한 식약처는 3가지 문제점을 지적했고, 이에 따라 광고 4개월 금지 처분을 내려서다. 회사 측은 억울하다는 입장이고, 식약처는 소비자가 오인할 만한 광고를 한 사실이 있어 행정처분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5. 알파벳·메타·아마존, 세계 광고시장 절반 장악
미국 3개 빅테크 기업, 알파벳·메타·아마존이 중국을 제외한 세계 광고 시장의 50% 이상을 장악했다고 주요 외신이 보도했다. 그룹M의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광고 시장은 코로나19로 대부분 광고 시장이 위축된 지난해에도 성장했고, 올해는 30.5%나 더 늘어 4,91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6. 온라인 플랫폼으로 가는 뷰티업계…O2O·리뷰 강화
온라인 화장품 구매가 급증한 가운데 화장품업계가 온라인 플랫폼을 강화한다. 온·오프라인 연계(O2O) 서비스와 뷰티 커뮤니티 등으로 온라인 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백화점의 뷰티 편집숍 시코르는 내년부터 자사몰 '시코르닷컴'을 강화해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으로 체질 개선에 나선다. 시코르닷컴의 회원 수는 45만명을 넘어섰고, 이 중 MZ세대 고객은 82%에 달한다. 온라인 채널을 강화해 O2O 디지털 뷰티 플랫폼으로 변신한다는 계획이다.
7. 마이데이터의 씁쓸한 마케팅
'마이데이터' 제도가 12월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시중은행, 카드사, 증권사 등 금융회사들은 주식·포인트·쿠폰 등 경품을 내걸며 이용자 모집에 혈안이지만, 일각에서는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8. 온라인 장보기 생태계 넓히는 네이버···이마트 트레이더스 입점
지난 10월 이마트몰을 오픈하며 장보기 서비스를 강화한 네이버가 이마트 트레이더스까지 품으며 온라인 장보기 경쟁력을 더욱 키우고 있다. 네이버 측은 "SSG닷컴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네이버는 장보기 생태계를 한 층 더 다양화하고, SSG닷컴은 일 평균 2,000만 명이 넘는 네이버쇼핑 이용자들에게 이마트몰 및 트레이더스의 상품과 쓱배송을 제공해 신규 고객을 확보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난해 8월 리뉴얼 오픈한 '네이버 장보기'는 전국 146곳에 이르는 전국 동네시장을 시작으로 오프라인 소상공인의 온라인 확장을 돕고, 대형 마트와 백화점 식품관 등으로 제휴사를 확대하며 당일 온라인 장보기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9. 네이버, 교육계로 인증 생태계 확장
네이버 인증서가 사이버대학교를 넘어 대학교 캠퍼스로 활용처를 빠르게 넓혀가며 대학생의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10월 연세대 포털에 네이버 인증서 로그인을 적용했고, 지난 7일부터 도서관 출입, 도서 대여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네이버 연세대 동문 인증'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10.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새 단장
카카오페이가 소상공인들의 효율적인 매장 운영과 매출 신장을 돕기 위해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앱을 새 단장했다. 카카오페이 비즈니스 앱으로 매출 관리, 매장 관리, 멤버십, 매출 리포트, 결제 취소, 직원 관리 등 매장 관리 전반에 필요한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마케팅뉴스] 2021.12.13 월요일 (0) | 2021.12.13 |
---|---|
[마케팅뉴스] 2021.12.10 금요일 (0) | 2021.12.10 |
[마케팅뉴스] 2021.12.08 수요일 (0) | 2021.12.08 |
[마케팅뉴스] 2021.12.07 화요일 (0) | 2021.12.07 |
[마케팅뉴스] 2021.12.06 월요일 (0) | 2021.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