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블로그마켓 띄우는 네이버...SNS 커머스 공들인다
네이버가 '블로그 마켓'을 강화, 이용자 기반 소셜미디어(SNS) 커머스 공략에 나섰다.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최근 이용자가 직접 상품 판매자로 나서는 블로그 마켓 서비스를 정식 오픈했다. 블로그 마켓은 블로그 이웃 관계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상거래에 네이버페이를 결합해 더 쉽게 상품을 판매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한 블로그의 상거래 기능이다. 블로그 마켓의 판매자로 가입하면 블로그 게시글을 작성하면서 내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2. 꼰대 4050보다 낫다, 7080 할매할배에 열광한 MZ세대
'할매·할배'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지면서 광고업계도 반기고 있다. 윤여정은 '지그재그'에서 "니들 마음대로 사세요"라고 일갈하고, 햇반컵반의 모델로는 나문희 씨가, 화장품 광고에는 강부자 씨가 나섰다. 꼰대스럽지 않은 시니어 모델은 전 세대의 공감과 지지를 받을 수 있어 광고 모델로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다.
3. 지금 중국 소비경제는 ‘왕홍 경제’...신소비 추진의 일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중국의 소비 경제는 '왕홍(網紅) 경제'가 지배하는 시대가 됐다.왕홍은 중국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서 '개인기'로 상품을 파는 인플루엔서를 말하며, 이들에 의한 전자상거래가 지배하는 경제가 왕홍 경제다.진작에 기세를 올리던 왕홍들이, 코로나19에 따른 언택트.비대면 시대를 맞아, 시장을 장악했다.
4. 애플 앱 추적 제한... 페북은 어떻게 대응하나
페이스북이 개인맞춤형 광고에 닥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많은 작업을 해 왔다고 설명했다. 광고 플랫폼 요소들을 새롭게 구축하는 한편, '맞춤형 광고는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좋은 것이다'라고 홍보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애플 API와 자체 이벤트 측정 API를 활용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5. 코로나19 덕에 글로벌 특송기업 ‘돈 쓸어 담는다’
글로벌 국제특송산업이 지난 2020년부터 연평균 7.5% 성장, 2024년 6,00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말 그대로 돈을 자루에 쓸어 담고 있는 형국이다. 이 같은 결과는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 소매유통시장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급격히 이동, 이커머스 시장의 활황에 따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6. 건강기능식품 시장 ‘작년 4.9조원’… 코로나19로 성장세 보여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지난 2016년(3조 5000억원) 대비 40% 오른 4조 9000억원을 기록했다.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7. 당근마켓 '3,000원' 배송 서비스 나왔다
당근마켓이 거래 물품을 배송해주는 '당근배송' 서비스를 내놨다. 이웃 간의 직거래를 표방한 당근마켓이 근거리 배송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최근 송파구에서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3,000원의 배송료를 내면 거래 물품을 판매자에게서 수거해 구매자에게 전달해준다.
8. '라방' 강화하는 홈쇼핑 업계…전문성 이어 차별화 집중
홈쇼핑 업계가 무게 중심을 TV에서 모바일로 옮기고 있다. 모바일 전환 핵심 축엔 ‘라이브커머스 방송’이 있다. TV홈쇼핑을 통해 쌓아온 방송 역량을 모바일로 가져와 전문적인 ‘라방’ 콘텐츠를 만드는 움직임이다.
9. 팬티까지 완판시킨 펄어비스 검은사막 이색마케팅
껌, 김, 샴푸 등 독특한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연이어 선보인 펄어비스 '검은사막'의 이색 마케팅이 이번에는 팬티까지 완판 시켜 화제가 되고 있다. 펄어비스가 '스웨거'와 콜라보를 통해 선보인 남성용 속옷 '검은사각'은 11번가 단독 출시 후 반나절 만에 품절됐고, 정식 출시 후에도 당일 완판됐다.
10. 아마존, 1분기 매출 111조 원 넘었다
아마존이 지난 분기 매출이 1000억 달러(약 111조 원)가 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755억 달러에 비해 44% 증가한 수치다. 주당순이익도 예상했던 9.69달러를 상회한 15.79달러를 보였다. 또 광고 매출도 구글과 페이스북과의 경쟁에도 불구하고 69억 달러로 77% 늘었다.
11. 모바일 CJ, '라방'으로 카카오·쿠팡과 맞짱
다음 달 10일부터 TV 홈쇼핑 채널에서 CJ오쇼핑 상호가 없어진다. TV를 포함해 CJ몰, CJ오쇼핑플러스 채널명이 'CJ온스타일'로 통합된다. CJ ENM 커머스 부문은 패션, 뷰티, 리빙 등에 특화된 라이브커머스에 모든 화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30조 원 '라방' 시장을 둘러싼 격전이 예상된다.
출처 - NAVER, 아이보스
[마케팅뉴스] 2021.05.06 목요일 (0) | 2021.05.06 |
---|---|
[마케팅뉴스] 2021.05.04 화요일 (0) | 2021.05.04 |
[마케팅뉴스] 2021.04.29 목요일 (0) | 2021.04.29 |
[마케팅뉴스] 2021.04.28 수요일 (0) | 2021.04.28 |
[마케팅뉴스] 2021.04.27 화요일 (0) | 2021.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