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케팅뉴스] 2022.07.28 목요일

마케팅NEWS

by Honey_Tips 2022. 7. 28. 13:34

본문

728x90

1.‘MZ세대 관심↑ 온라인 구매↑’… '전통주' 주류시장 새로운 대세로 뜬다

소주와 맥주로 대표되던 주류 시장의 트렌드가 2030세대를 중심으로 막걸리와 과실주 등 전통주로 옮겨가고 있다. 특히 전통주는 온라인 판매 허용 및 주세법 개정 등의 정책 지원을 등에 업고 세련된 디자인과 차별화된 맛으로 젊은 소비자들의 호응을 받고 있다.

 

 

2. 카톡 사용량 최대 40%가 오픈채팅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했다. 올해 오픈채팅 사용자 수는 2019년 대비 76% 늘었다. 오픈채팅 수신·발신량도 같은 기간 78% 증가했다. 카카오는 다른 사람과 필요 이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젊은 세대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3. 유튜브 광고 성장률 역대 최저... 틱톡·인스타로 이탈

코로나19의 가장 큰 수혜자 중 하나인 유튜브의 성장세가 주춤하는 모습이다. 1분기에 이어 2분기의 광고 수익도 시장 전망치를 밑돌았고 2분기 광고 수익 성장률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유튜브 광고 수익은 73억 4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8% 성장했다. 2019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4. "'내돈내산' 리뷰만 따로 본다"…네이버, '쇼핑 스마트블록' 도입

네이버가 직접 구매 인증한 사용자의 상품평, 날씨∙시즌별 추천 아이템 정보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쇼핑 스마트블록을 선보였다고 11일 밝혔다.네이버는 지난해 AI(인공지능) 검색 '에어서치'를 선보이고 스마트블록을 도입,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맞춤형 정보를 전달하며 검색 편의성을 높여왔다. 올해 중 검색 결과의 약 30%까지 스마트블록 비중을 확대하는 가운데, 이번에는 쇼핑 스마트블록으로 다양한 검색어 관련 사용자에게 트렌디한 상품 추천으로 한층 풍부해진 검색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5. 못난이 과일·유통기한 임박·중고 상품… 없어서 못 산다

사상 초유의 고물가 사태에 못난이 과일, 유통기한 임박상품, 중고 상품 등이 날개 돋힌 듯 팔려나가고 있다. 여기에 호응한 유통업계도 못난이 과일을 매대 중앙에 배치하고 유통기한 임박 상품과 리퍼 상품 등을 정식으로 판매하는 등 알뜰 쇼핑에 집중하고 있다.2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유통업체들은 '알뜰소비'를 키워드로 전력을 다하고 있다.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현상이 계속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돌파하기 위한 차원이다.

 

 

6. 이커머스 업계, 스타벅스 굿즈 발암물질 논란에 판매 중단

최근 발암물질 검출 논란이 일고 있는 스타벅스 '서머 캐리백'을 두고, 이커머스 업계가 판매 중단 조치에 나섰다. 롯데온, 티몬, 위메프 등 이커머스 업체들은 자사 플랫폼에서 해당 제품을 판매 중지하거나, 판매 중지를 검토하고 있다.

 


7. '스타일콘텐츠' 통했다…에이블리 앱 실행 8억회 돌파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중심으로 패션 플랫폼 활용 방법이 다변화하고 있다. 단순 의류 구매를 위해 앱에 접속하는 것을 넘어 하나의 취미생활로 자리 잡았다.구매 후기를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즐기듯 보고 내 손안에 작은 매거진처럼 패션 앱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코디와 스타일링 콘텐츠를 선호한다.에이블리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는 스타일콘텐츠 강화에 따라 지난달 앱 실행 횟수가 8억회를 넘어섰다고 22일 밝혔다.

 


8. MZ세대 마케팅, 이색 협업이 가장 효과적

MZ세대 마케팅에 대한 인식 조사에 따르면, MZ세대를 겨냥하기 위해서는 타 브랜드와의 이색 협업, 한정판 제품 출시 등의 마케팅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통해 최신 소비 트렌드를 파악하고,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쇄신과 실제 매출 상승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 "내가 잡는다"…퀵커머스, 저가경쟁 승부

한국형 요마트(요기요 장보기앱)와 글로벌계 B마트(배달의민족 장보기앱)와 쿠팡이츠마트(쿠팡 장보기앱)가 고물가 시대에 장보기 서비스 전략을 강화하며 격돌하고 있다.음식배달 플랫폼에만 머물지 않고 장보기 퀵커머스(즉시배송)로 거듭나고 있는 이들 업체는 치솟는 물가에 배송 속도를 넘어 상품의 질과 가격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사활을 걸고 있다.

 


10. 온라인 쇼핑, 가던데 간다... 유료 멤버십 긍정적

일상생활 속에 온라인 쇼핑이 이미 대세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은 쇼핑 과정에 다양한 채널과 사이트를 비교 검토하는 편이지만 자주 이용하던 사이트에 대한 충성도가 높고 유료 멤버십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