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마케팅뉴스] 2022.03.24 목요일

마케팅NEWS

by Honey_Tips 2022. 3. 24. 16:25

본문

728x90

1. 인스타그램 '제품 태그', 일반 이용자로도 확대

인스타그램이 일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진 속에 제품을 태그할 수 있는 기능을 확대한다.22일(현지시간)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더버지>는 인스타그램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비즈니스·크리에이터 계정에만 제공하던 ‘상품 태그’ 기능을 일반 이용자들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능은 이날부터 시범 운영돼 미국 전체 이용자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2."코로나에 온라인 쇼핑 늘어"…`페이`에 하루평균 9048억 썼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온라인 거래가 꾸준히 늘면서 지난해 하루평균 전자지급결제대행(PG) 이용실적이 2000만건, 9000억원에 달했다.전자지금결제대행 서비스(PG, Payment Gateway)란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로부터 대금을 수취해 판매자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지급결제정보를 송·수신하거나 그 대가를 정산 대행 또는 매개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예를 들면 페이코, 삼성페이와 같은 페이 앱에 신용카드를 등록해 사용하는 경우다.

 


3. 애플·네이버 동시에 먹통... MS·LG전자 '해킹'

네이버와 애플의 각종 서비스가 22일 한때 먹통이 되어 서비스가 중지됐다. 네이버는 스마트스토어에서 1시간 20분가량 접속 오류가 발생했고, 애플도 앱스토어와 애플뮤직을 비롯한 상당수 서비스도 멈춰 섰다가 두세 시간 후에 복구됐다. 또한, MS와 LG전자는 해킹 공격을 받았다고 알려졌다.

 

 

4. Z세대 대세 키워드는 ‘쇼트폼’ ‘메타버스’

국내 10, 20대 ‘Z세대’ 사이에서 ‘쇼트폼’과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가 대세 키워드로 자리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가치를 위해서는 기꺼이 지갑을 여는 소비문화도 Z세대의 특징으로 조사됐다.디지털 콘텐츠 분야에서 대세는 쇼트폼과 메타버스였다. 응답자의 34%(이하 중복 응답)가 쇼트폼 콘텐츠를 지난해 가장 주목받은 인터넷 문화로 꼽았으며, 32%는 올해에도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5. 이노션·제일기획, 다음 격전지는 '가상현실'

이노션 제일기획 등 국내 선두 종합광고대행사들이 최근 디지털 기업 인수에 적극 나서고 있다. 가상·증강현실 디지털 기업을 인수하고 메타버스·NFT 사업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디지털 대전환기를 광고주에 전적으로 의존하던 전통사업 모델에서 탈피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6. 클릭하면 10원 주는 광고... 보험사 비중 압도적인 이유

보험사의 광고 흐름이 적극적으로 고객 인입을 유도하는 리워드형으로 옮겨가고 있다. 클릭하면 10원 단위의 포인트를 주는 네이버 '프리미엄 패키지'의 광고주 중 50% 이상이 보험사로 나타났다. 고객 인입 효과가 쏠쏠하기 때문이다. 배너광고 대비 평균 2~6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배달 수수료 너무 비싸요... 자사 앱 키우는 외식업체들

외식업계가 자사 모바일 앱을 통해 주문을 받고 배달 서비스를 하는 안에 집중하고 있다. 자사 앱을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충성 고객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배달앱 수수료도 아낄 수 있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다. 배달 비중이 높은 치킨 프랜차이즈들은 특히 자사 앱 주문 활성화에 적극적이다.

 


8. 유통업계의 메타버스 활용법…전시회·채용 설명회 오픈

유통업계가 메타버스 마케팅에 시동을 걸었다. 비대면 활동이 늘어나면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고객 참여를 이끌고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기 위해서다. 업계는 메타버스를 활용해 전시회와 채용 설명회를 열면서 고객은 물론 취업을 희망하는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9. 이커머스 기업들, 테크 회사로 진화 가속...  CTO 영입 활발

쿠팡 외에 여러 이커머스 업체들이 최근 최고기술경영자(CTO) 영입에 나서면서 기술 경쟁이 달아오르는 상황이다. 일찌감치 테크 역량에 공격적으로 투자해오면서 사용자 경험 측면에선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온 쿠팡에 이어 다른 이커머스 업체들도 IT 및 자동화 기술 역량에 투자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10. 유통업계, '콘텐츠 커머스' 전성시대…토크쇼, 예능도 찍는다

유통업계가 웹예능, 웹드라마, 토크쇼 등 영상 콘텐츠 제작에 발 벗고 나섰다. 소비자가 콘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품을 노출시키고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이 효과를 보며 콘텐츠 커머스는 이커머스 업계의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